피임약 탈모원인 가능성
피임약 중단 후 탈모를 겪으시는 분들 생각보다 사례가 많습니다. 특히 1년 이상 장기 복용 후에 중단한 여성에게 많이 생겼습니다. 왜 그런 것이며 대처 방안은 무엇 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급하신 분은 본문 맨 하단에 정리된 내용만 보시면 충분히 이해가 가실 겁니다.
피임약 구성
피임약은 프로게스테론 + 에스트로겐으로 구성됩니다. 프로게스테론은 남성호르몬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세대 별 피임약의 프로게스테론 성분에 대해서 열거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피임약 별 프로게스테론 종류
- 1세대 : Norethindrone, Ethynodial diacetate(국내에 없음)
- 2세대 : Levonorgestrel (라니아, 미니보라)
- 3세대 : Gestodene, Desogestrel, Etongestrel(머시론, 멜리안, 마이보라, 센스데이)
- 4세대 : Drosprienone, Dienogest(야즈, 야스민)
1세대의 프로게스테론 성분이 가장 안드로겐 활성이 높습니다. 반면 4세대가 가장 낮습니다.
안드로겐 활성이 높다는 것은 안드로겐 탈모(남성형 탈모)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외국에서 1세대 피임약을 먹고 남성형 탈모가 온 사례를 종종 찾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피임약
현재 한국 여성은 대부분 3세대 ~ 4세대 피임약을 먹고 있습니다. 3~4세대는 안드로겐 활성이 거의 없거나 4세대는 항안드로겐 활성이 있기도 합니다.
그러면 3~4세대 피임약을 먹으면 아무 문제가 없는것이 아니냐라고 할 수 있지만 복용 중에는 괜찮은데(심지어 모발 빠지는 양이 줄기도 합니다.) 피임약 중단 한 후 몇 개월 후에 탈모가 시작되는 사례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야즈 중단 후 탈모, 야스민 중단 후 탈모, 머시론 중단 후 탈모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특정 약 때문이 아니라 해당 세대에 대한 내용이라는 걸 공지합니다.)
정확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피임약으로 유지되던 항안드로겐이 끊은 후에는 자연적인 컨트롤을 잃어 버린게 아닌가 추측합니다. 혈압 약을 먹다 끊으면 혈압 관리가 안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처방안
피임약은 좋은 약이지만 본인 몸에 해가 될 수도 있으니 복용에 신중하시길 바랍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 당연하고 일부 피임약의 경우 여드름 치료제로도 쓰이기에 이해하지만 순수 피임 목적이라면 남성 쪽에서 하는 게 탈모 적인 관점에서는 당연합니다.
게다가 4세대 피임약은 정맥혈전색전증(VTE) 부작용 가능성으로 전문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정맥혈전색전증은 다리의 심부정맥에 생긴 혈전이 폐의 동맥까지 흘러 들어가 폐색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쉽게 혈전이라고 이해하고 응고된 피가 중요한 곳을 막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리
- 피임약을 복용 중단 후 탈모가 오는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 피임약으로 항안드로겐 유지하다가 중단 후에 자연적인 컨트롤 능력을 잃어버린 것으로 추측
- 치료의 목적으로는 피임약을 사용하는 건 긍정적이지만 순수 피임의 목적이라면 남성 쪽에서 하는 게 탈모의 위험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날 수 있습니다.